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프로그램을 많이 사용하고 계실텐데요. 오피스 다운로드 및 설치는 무료입니다.

 

그런데 막상 이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설치하면 정품인증을 받아야 됩니다. 인증을 안받아도 일정기간동안은 프로그램을 사용하는데는 지장이 없지만 사용하기가 불편하므로 인증을 해보겠습니다.

 

크랙이나 인증툴을 사용하지 않는 명령 프롬프트 인증 방식이라 악성코드나 바이러스에 걸릴 확률이 없습니다.

일부 컴퓨터에서는 인증이 안되는 경우가 있어서 자동인증 배치파일을 추가로 올렸습니다. 2023. 1. 3일 수정

* 본문을 그냥 건너뛰고 중간 아래쪽 2023년 1월 3일자 수정한 부분만 봐도 상관은 없습니다.

 

오피스 설치파일 다운로드는 아래 링크에 자세히 설명해두었습니다.

https://pcwindows.tistory.com/374

 

오피스를 설치하고 처음 실행한 화면입니다.

제품키를 입력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취소를 누르고 그냥 사용해도 됩니다.

 

 

 

엑셀문서를 열어봤습니다. 상단에 사용기한 및 정품인증 메세지가 나오네요.

 

 

 

오피스 정품 인증을 해보겠습니다.

시작 메뉴 - 검색에서 cmd 를 입력하고 명령 프롬프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세요.

 

윈도우 10에서 테스트하였지만 윈도우 11에서도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면 됩니다.

 

 

 

아래 명령어를 순서대로 입력하면 인증이 완료됩니다. 차근차근 확인해보세요.

명령어를 입력할 때 에러 메세지가 나오면 인증이 안되기도 합니다. (에러 메세지도 종류가 많아서 각각 다름.)

 

인증이 잘 되지 않는 경우 화면에 나오는 에러메세지, 사용중인 운영체제, 사용중인 오피스 버전이 뭔지 댓글로 알려주세요. 계속 업데이트중입니다.

 

1. 첫번째 명령어입니다.

cd /d %ProgramFiles(x86)%\Microsoft Office\Office16

 

이명령어를 입력할 때 에러메세지가 나오면 (x86)을 지우고 입력하세요. 32비트 64비트 버전의 차이입니다.

대부분의 컴퓨터는 64비트이므로 32비트 폴더인 (x86)에서 작업해야 됩니다. 첫번째 명령어에서 에러가 나오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는데 일부 컴퓨터에서 OSPP 스크립트 파일이 64비트 폴더에 설치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는 (x86)을 지우고 명령어를 실행하세요.

 

 

2. 두번째 명령어입니다.

오피스 버전마다 명령어가 약간 다릅니다.

 

오피스 2019 프로 버전용

for /f %x in ('dir /b ..\root\Licenses16\ProPlus2019VL*.xrm-ms') do cscript ospp.vbs /inslic:"..\root\Licenses16\%x"

 

오피스 2016 프로 버전용

for /f %x in ('dir /b ..\root\Licenses16\proplusvl_kms*.xrm-ms') do cscript ospp.vbs /inslic:"..\root\Licenses16\%x"

 

오피스 2021 프로 버전용

for /f %x in ('dir /b ..\root\Licenses16\ProPlus2021VL*.xrm-ms') do cscript ospp.vbs /inslic:"..\root\Licenses16\%x"

 

* 오피스 365는 오피스 2019 프로 명령어를 사용하면 인증이 되기도 하지만 버전이 달라서 안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365에서 인증이 안되는 경우는 365를 아예 지우고 2019 프로로 설치하세요.

 

두번째 명령어가 실행이 안되는 경우 오피스 버전을 알려주세요. 확인후 계속 수정할께요.

 

두번째 명령어를 입력할 때 '지정된 경로를 찾을 수 없습니다' 이런 메세지가 나오는 경우 본문 하단에 있는 2022년 6월 22일에 수정한 부분을 확인하고 작업해야 에러 메세지가 나오지 않습니다.

 

 

입력한 명령어가 완전히 종료될때까지 기다리세요. 시스템 환경에 따라 시간이 오래 걸리기도 합니다.

 

 

3. 세번째 명령어입니다.

cscript ospp.vbs /setprt:1688

 

 

4. 네번째 명령어입니다.

cscript ospp.vbs /unpkey:6MWKP

 

오피스 2021에서 인증이 안되는 경우 아래 명령어로 바꿔서 입력

cscript ospp.vbs /unpkey:6F7TH

 

<Product Key not found> 에러 메시지가 나오는 경우 그냥 무시하고 진행하세요.

 

 

5. 다섯번째 명령어입니다.

오피스 버전마다 제품키가 달라서 명령어도 각각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오피스 버전의 명령어만 있는데요. 여기에 해당되지 않는 오피스는 본문 중간쪽에 있는 제품키 목록에서 키를 확인하고 명령어를 수정하세요. (cscript ospp.vbs /inpkey:제품키 부분만 수정)

 

오피스 2019 프로페셔널 명령어

cscript ospp.vbs /inpkey:NMMKJ-6RK4F-KMJVX-8D9MJ-6MWKP

 

오피스 2016 프로페셔널 명령어

cscript ospp.vbs /inpkey:XQNVK-8JYDB-WJ9W3-YJ8YR-WFG99

 

오피스 2021 프로페셔널 명령어
cscript ospp.vbs /inpkey:FXYTK-NJJ8C-GB6DW-3DYQT-6F7TH

 

 

 

6. 여섯번째 명령어입니다.  (인증서버 주소 변경)

cscript ospp.vbs /sethst:kms.srv.crsoo.com

 

위서버에서 인증이 안되는 경우 아래 서버주소로 바꿔서 실행해보세요. 인터넷 접속 상태가 안좋거나 서버 접속 상태가 좋지 않으면 인증이 안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cscript ospp.vbs /sethst:kms8.MSGuides.com

 

cscript ospp.vbs /sethst:s8.uk.to

 

cscript ospp.vbs /sethst:s9.us.to

 

 

7. 마지막 명령어입니다.

cscript ospp.vbs /act

 

 

 

마지막 명령어는 작업시간이 약간 오래걸립니다. 잠시 기다리세요.

저의 경우 하단에 오류 메세지가 나오는데 인증하고는 상관이 없네요.

 

Installed product key detected – attempting to activate the following product:
SKU ID: eb972895-440e-4863-be98-ba075b9721d0
LICENSE NAME: Office 19, Office19Professional2019R_Grace edition
LICENSE DESCRIPTION: Office 19, RETAIL(Grace) channel
Last 5 characters of installed product key: QGQYY
ERROR CODE: 0xC004F017
ERROR DESCRIPTION: The Software Licensing Service reported that the license is not installed.

 

 

 

오피스를 다시 실행해보면 라이선스 계약 동의 화면이 나옵니다. 수락을 클릭하세요.

 

 

 

상단에 있던 정품 인증 메세지가 없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피스 계정 정보에 가서 오피스 업데이트 기능을 사용안함으로 변경하세요.

이걸 하지 않으면 오피스가 업데이트되면서 불법인증 관련 메세지가 추가로 나오게 됩니다.

 

 

 

오피스 2019 버전에서 테스트한 내용이지만 2016, 2021, 365 버전에서도 인증이 가능합니다.

 

 

오피스 버전별 인증키
Office Professional Plus 2016
XQNVK-8JYDB-WJ9W3-YJ8YR-WFG99

Office Standard 2016
JNRGM-WHDWX-FJJG3-K47QV-DRTFM

Project Professional 2016
YG9NW-3K39V-2T3HJ-93F3Q-G83KT

Project Standard 2016
GNFHQ-F6YQM-KQDGJ-327XX-KQBVC

Visio Professional 2016
PD3PC-RHNGV-FXJ29-8JK7D-RJRJK

Visio Standard 2016
7WHWN-4T7MP-G96JF-G33KR-W8GF4

Access 2016
GNH9Y-D2J4T-FJHGG-QRVH7-QPFDW

Excel 2016
9C2PK-NWTVB-JMPW8-BFT28-7FTBF

OneNote 2016
DR92N-9HTF2-97XKM-XW2WJ-XW3J6

Outlook 2016
R69KK-NTPKF-7M3Q4-QYBHW-6MT9B

PowerPoint 2016
J7MQP-HNJ4Y-WJ7YM-PFYGF-BY6C6

Publisher 2016
F47MM-N3XJP-TQXJ9-BP99D-8K837

Skype for Business 2016
869NQ-FJ69K-466HW-QYCP2-DDBV6

Word 2016
WXY84-JN2Q9-RBCCQ-3Q3J3-3PFJ6

Office Professional Plus 2019
NMMKJ-6RK4F-KMJVX-8D9MJ-6MWKP

Office Standard 2019
6NWWJ-YQWMR-QKGCB-6TMB3-9D9HK

Project Professional 2019
B4NPR-3FKK7-T2MBV-FRQ4W-PKD2B

Project Standard 2019
C4F7P-NCP8C-6CQPT-MQHV9-JXD2M

Visio Professional 2019
9BGNQ-K37YR-RQHF2-38RQ3-7VCBB

Visio Standard 2019
7TQNQ-K3YQQ-3PFH7-CCPPM-X4VQ2

Access 2019
9N9PT-27V4Y-VJ2PD-YXFMF-YTFQT

Excel 2019
TMJWT-YYNMB-3BKTF-644FC-RVXBD

Outlook 2019
7HD7K-N4PVK-BHBCQ-YWQRW-XW4VK

PowerPoint 2019
RRNCX-C64HY-W2MM7-MCH9G-TJHMQ

Publisher 2019
G2KWX-3NW6P-PY93R-JXK2T-C9Y9V

Skype for Business 2019
NCJ33-JHBBY-HTK98-MYCV8-HMKHJ

Word 2019
PBX3G-NWMT6-Q7XBW-PYJGG-WXD33

Office LTSC Professional Plus 2021
FXYTK-NJJ8C-GB6DW-3DYQT-6F7TH

Office LTSC Standard 2021
KDX7X-BNVR8-TXXGX-4Q7Y8-78VT3

Project Professional 2021
FTNWT-C6WBT-8HMGF-K9PRX-QV9H8

Project Standard 2021
J2JDC-NJCYY-9RGQ4-YXWMH-T3D4T

Visio LTSC Professional 2021
KNH8D-FGHT4-T8RK3-CTDYJ-K2HT4

Visio LTSC Standard 2021
MJVNY-BYWPY-CWV6J-2RKRT-4M8QG

Access LTSC 2021
WM8YG-YNGDD-4JHDC-PG3F4-FC4T4

Excel LTSC 2021
NWG3X-87C9K-TC7YY-BC2G7-G6RVC

Outlook LTSC 2021
C9FM6-3N72F-HFJXB-TM3V9-T86R9

PowerPoint LTSC 2021
TY7XF-NFRBR-KJ44C-G83KF-GX27K

Publisher LTSC 2021
2MW9D-N4BXM-9VBPG-Q7W6M-KFBGQ

Skype for Business LTSC 2021
HWCXN-K3WBT-WJBKY-R8BD9-XK29P

Word LTSC 2021
TN8H9-M34D3-Y64V9-TR72V-X79KV

 

유튜브 테스트 영상입니다. 구독 및 좋아요 눌러주세요.

https://youtu.be/H8cPx5B2348

 

 

@ 원본 및 참조 사이트 : https://pcwindows.tistory.com/384

방화벽 도메인 EXT, DMZ, INT, MGMT

IT이야기/etc. 2022. 5. 16. 16:02 Posted by 카레이서

침입차단시스템(방화벽)

방화벽이 제어하는 도메인은 다음 그림과 같이 “EXT", "DMZ", "INT", "MGMT"4개의 도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EXT" 구간은 방화벽이 보호하지 않은 외부 사용자가 속해있는 네트워크 구간이며, "DMZ", 메일, 개발 서비스 등과 같이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접점 서비스에 해당하는 역할을 담은 서버가 속해있는 네트워크 구간이다. "INT" 구간은 DB, 검색, WAS 등 외부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없는 서비스 및 중요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버가 속해있는 네트워크 구간이다. “MGMT" 구간은 정보시스템의 일부를 관리하는 사용자만이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되어 있으며, 개발자나 서비스 관리자 역시 접근할 필요가 없는 서버들이 속해있는 네트워크 구간이다. 구간별 보안 중요도에 따라 순서를 정한다면, EXT < DMZ < MGMT < INT 순이다.

<Figure 2-13> Domain Controled by Firewall

 

이러한 도메인별 접근 통제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Table 2-14> Access Controls of each Domain

도착지
출발지
EXT DMZ MGMT INT
EXT 거부 정책으로 통제 정책으로 통제 정책으로 통제
DMZ 허용 제어안함 정책으로 통제 정책으로 통제
MGMT 허용 방화벽정책 제어안함 정책으로 통제
INT 허용 1024포트이하 : 정책으로 통제 허용 제어안함

 

<Table 2-15> User's Access Controls Criterion

레벨 허용 범위
레벨 1 : 정보시스템운영실 내의 관리자 PC 모든 서버에 대한 접근 허용 및 서비스 허용
레벨 2 : 운영룸 모니터링 PC 모니터링 대상 서버 및 모니터링 및 관리 서비스 허용
레벨 3 : 내부 직원 개발자 및 웹 마스터 등의
서비스 운영자
개발 및 관리 서버에 대한 그룹별 접근 허용
일정 서비스에 대한 포괄 허용
레벨 4 : 외부 개발자, 정보시스템 외의 관제용 peer-to-peer형태의 개별 형태의 서비스 허용
개별 서버 간 서비스를 위한 연결
 
 
Reference : 

https://scienceon.kisti.re.kr/commons/util/originalView.do?dbt=TRKO&cn=TRKO201600000500

공인 IP 대역과 사설 IP 대역

IT이야기/etc. 2022. 5. 16. 10:48 Posted by 카레이서

공인 IP (Public IP)대역이란?

 - 인터넷 사용자의 로컬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IP주소입니다. 공용 IP주소라고도 불리며 외부에 공개되어 있는 IP주소입니다. 공인 IP는 전세계에서 유일한 IP주소를 갖고 있으며, 공인 IP 주소가 외부에 공개되어 있기때문에 인터넷에 연결된 다른 PC로부터의 접근이 가능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공인 IP 주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방화벽 등의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가 있습니다.

 - 우리가 잘 알고있는 SK,KT,LG등의 통신사를 통하여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망을 공인 IP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공인 IP 대역

0.0.0.0 ~ 127.255.255.255
128.0.0.0 ~ 191.255.255.255
192.0.0.0 ~ 233.255.255.255
224.0.0.0 ~ 239.255.255.255
240.0.0.0 ~ 255.255.255.255

 

사설 IP (Private IP)대역이란?

 - 일반 가정이나 회사 내 등에 할당된 네트워크의 IP주소입니다. 로컬 IP, 가상 IP라고도 불리며 IPv4의 주소부족으로 인해 서브넷팅된 IP이기 때문에 라우터에 의해 로컬 네트워크상의 PC나 장치에 할당됩니다.

 - 인터넷 공유기에 연결된 PC,TV,스마트폰 등이 대표적인 사설 IP주소입니다. 외부에는 공개되지 않아서 외부에서 검색, 접근이 불가능한 IP입니다.

 

사설 IP 대역

10.0.0.0 ~ 10.255.255.255
172.16.0.0 ~ 172.31.255.255
192.168.0.0 ~ 192.168.255.255

 

 

 

 

reference : https://ju-hyung.tistory.com/70

VMware Workstation 네트워크 설정 정리

IT이야기/etc. 2021. 12. 6. 15:48 Posted by 카레이서

[환경]
공유기 : IPtime A3004NS-M

가상화 방식 : Hosted Hypervisor (Windows OS에서 하이퍼바이저 SW 설치)

하이퍼바이저 : VMware Workstation 15.5 Pro [다운로드 링크]

 

* 가상화 종류와 방식은 다른 글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글에서는 VMware Workstation 네트워킹에 대하여 정리합니다.

 

 

1. 기본 네트워크 구조

먼저 기본적으로 아직 가상머신이 네트워크 연결이 되지 않았다고 했을 때의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공유기를 통하여 인터넷이 연결된 PC VMware workstation(이하 워크스테이션) 설치되어 있으며 VM(가상머신) 네트워크 연결하지 않은 상태 입니다.

 

 

2. VMware Workstation 가상 네트워크 설정 확인

아래 스크린샷을 참고하여 상단 메뉴 Edit > Virtual Network Editor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창이 팝업됩니다.

 

VMnet1 VMnet8이라는 가상 스위치가 초기설정되어 있으며 각각은 Host-only NAT 두가지 Type입니다.

각각의 설정 변경을 원할 경우 우측 하단의 Change Settings 클릭하여 VMnet Type, DHCP여부, IP 대역 등을 설정할 있는데 여기서 VMnet0라는 Bridged 가상 스위치도 있는 것을 확인 있습니다.

일단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PC에서의 각각의 가상스위치를 확인하여 네트워크 구조를 가늠할 있습니다.

윈도우 실행메뉴(Win+R) > cmd > ipconfig

여기서 VMnet1 VMnet8 네트워크 어댑터 IP 대역이 할당되어 있으며 IP Workstation에서의 가상머신에서 네트워크 어댑터 설정시 게이트웨이가 되는 구조 입니다.

(게이트웨이와 IP 대한 간단한 정리가 필요한 분은 여기 다른 글을 참고하세요 [링크] )

이제 전반적인 네트워크 구조는 정리가 같고 Type 차이점을 이해하기 쉽게 알아보겠습니다.

 

 

3. Bridged Type

가상머신들을 네트워크 구조상 PC(VMware Workstation) 동일한 대역에 위치시켜 상단 네트워크와 통신합니다.

간단히 예를 들면, 공유기에서 할당하는 IP대역이 192.168.0.0/24 이고 PC 공유기에서 할당받은 IP 192.168.0.3이라면 가상머신도 공유기에서 IP 할당받아 192.168.0.2~254 미사용중인 IP 사용 있습니다. 통신은 바로 상단의 공유기와 통신하는 구조를 가지게 됩니다. 외부에서 해당 VM 찾아올 경우 유용하며 공유기 설정만으로 쉽게 구현가능합니다.

 

 

4. Host-only Type

가상머신은 이에 해당하는 VMnet과만 통신합니다. 필요에 따라 독립된 망을 구성할 경우 사용하며 인터넷망과의 통신은 라우팅 설정이 있는 경우에 가능합니다.

 

 

5. NAT Type

가상머신이 하이퍼바이저(VMware Workstation) NAT IP 이용하여 공유기까지 통신합니다. 공유기는 기본적으로 NAT 사용하므로 다시 공유기의 NAT IP 통하여 인터넷 망으로 통신하게 되는 구조입니다. 가상머신의 외부 통신이 가능하나 외부에서 해당 VM 찾아 들어올 경우에는 별도의 설정이 필요합니다

 

 

6. Type 선택 예시

- centos에서 yum 이용하여 편리하게 패키지를 설치하고 싶다면 > bridged or NAT

- 가상머신으로의 ssh, web/was, db 등의 접속을 같은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도 가능하게 하고 싶다면 > bridged

- 여러개의 독립된 대역으로 나누어 테스트 한다면 > host-only

- Windows 설치하여 PC 내에 다른 windows 다용도로 활용하고 싶다면bridged or NAT

 

 

 

 

[출처] https://it4us.tistory.com/5

일반적인 유틸리티 프로그램을 다운받아서 컴퓨터에 설치할때 스폰서 프로그램으로 설치되는 SwiftDataInfo 팝업광고 프로그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름만으로는 어떤 프로그램인지 전혀 알 수가 없으며, 파일경로나 파일의 속성을 봐도 무슨 프로그램인지 확인이 어렵습니다. 팝업광고나 쇼핑몰바로가기 생성, 악성코드 또는 애드웨어의 설치가 목적인 것으로 보입니다.

 

작업관리자 프로세스 실행화면입니다.

swiftdata.exe , swiftdatas.exe 두개의 프로세스가 실행중이네요.

 

 

 

설치폴더의 파일목록입니다. dll 파일과 응용프로그램들이 있습니다. 실행파일 목록

C:\Users\사용자이름\AppData\Roaming\SwiftDataInfo\swiftdata.exe

C:\Users\사용자이름\AppData\Roaming\SwiftDataInfo\swiftdatas.exe

C:\Users\사용자이름\AppData\Roaming\SwiftDataInfo\swiftdataun.exe

 

 

 

이 프로그램을 삭제하려면 제어판 - 프로그램 추가/제거에서 Swiftdatainfo Version 1.0 을 더블클릭해서 삭제하면 됩니다.

 

 

 

프로그램 파일상세정보

C:\Users\사용자이름\AppData\Roaming\SwiftDataInfo\swiftdata.exe

파일해시 MD5 : 944d3de80df4b15acf29d1fb75876320

 

C:\Users\사용자이름\AppData\Roaming\SwiftDataInfo\swiftdatas.exe

파일해시 MD5 : 965494f72f304e085991415e2f42a2e1

시작 프로그램에 추가되어 부팅시 자동실행 - 표시이름 : SwiftData

작업관리자 - 시작 프로그램탭에서 사용안함으로 설정가능

 

C:\Users\사용자이름\AppData\Roaming\SwiftDataInfo\swiftdataun.exe

파일해시 MD5 : 90cfc76c76a52eaff6d079433ca18c43

 

제어판 - 프로그램 추가/제거에 등록된 레지스트리

표시이름 : Swiftdatainfo Version 1.0

프로그램 버전 : 1001

설치 폴더 : C:\Users\사용자이름\AppData\Roaming\SwiftDataInfo

제작사 : Swift Data, Inc.

프로그램 삭제 정보 : C:\Users\사용자이름\AppData\Roaming\SwiftDataInfo\swiftdataun.exe

레지스트리 키 : SwiftData

 

프로그램의 삭제는 제어판에서 할 수 있지만 프로그램 삭제가 되지 않는 경우 SwiftDataInfo 관련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SwiftDataInfo 폴더를 통째로 삭제하면 됩니다.

 

이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다면 또다른 악성코드가 사용자 몰래 설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시작프로그램이나 서비스, 작업스케쥴러에 이상한 항목이 없는지 확인해보세요.

 
 

Reference : https://pcwindows.tistory.com/172

네트워크 우선 순위 정하기

IT이야기/etc. 2020. 7. 27. 19:59 Posted by 카레이서

우분투에서 2개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면 다음과 같이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ifmetric'를 설치하여 설정한다.

 

$ sudo apt-get install ifmetric

 

$ route -n

 

Kernel IP routing table

Destination    Gateway    Genmask    Flags    Metric    Ref    Use    Iface

0.0.0.0           10.42.0.1    0.0.0.0       UG      100        0       0       eth0

0.0.0.0           10.42.0.2    0.0.0.0       UG      600        0       0       wlan0

 

위와 같이 wlan0의 우선순위가 600이어서 순위가 eth0보다 낮다면 다음과 같이 수정하여 순위를 바꿀 수 있다.

 

$ sudo ifmetric wlan0 50

 

순위가 바뀐것을 확인할 수 있다.

 

$ route -n

 

Kernel IP routing table

Destination    Gateway    Genmask    Flags    Metric    Ref    Use    Iface

0.0.0.0           10.42.0.2    0.0.0.0       UG       50         0       0       wlan0

0.0.0.0           10.42.0.1    0.0.0.0       UG       100        0       0       eth0

 

 

 

[출처] : https://superuser.com/questions/331720/how-do-i-set-the-priority-of-network-connections-in-ubuntu


VMware 네트워크 (Network) 개념 및 사용법

IT이야기/etc. 2020. 7. 27. 19:23 Posted by 카레이서

VMware에서는 가상 네트워크를 지원하는대 호스트OS에서 논리적인 인터페이스 랜카드를 추가하여 설정이 가능함

크게 3가지로 나누어 볼수있는대 bridged mode, nat mode, host-only 모드가 있습니다.

 

 

 

1. Bridge 모드

Guest OS의 랜카드를 통하여 직접 인터넷망 연결 Host OS의 랜카드가 스위치 역활을 해주지만 LAN카드를 거치지 않고 나간다고 보는게 더쉽습니다.

브릿지 모드는 Guest OS에서 외부통신이 가능하게 되려면 공인 IP가 필요합니다. Host OS 와 통신 가능하며 다른 Guest OS도 대역대만 맞으면 통신가능

 

▲ Bridge 모드 예시

 

 

 

 

2. NAT 모드

NAT모드는 쉽게 공유기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Host OS의 공인아이피가 Guest OS로 갈때는 사설아이피로 변경되어 Guest OS의 외부통신을

하게하게 해줍니다. 사용 아이피 대역대는 10.0.0.0 ~ 10.255.255.255/8 172.16.0.0 ~ 172.31.255.255/16 192.168.0.0~192.168.255.255/24 흔이 공유기에서 볼수있는 아이피대역대

▲ NAT 모드 예시

 

 

 

3. Host-only 모드

이모드에서는 외부에서 통신은 불가능하며 Guest OS간의 통신만 허용함 쉽게 NAT모드와 비슷하지만 외부로의 통신은 되지않음


▲ Host-only 모드 예시

 

 

 

출처 :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arrena&logNo=50164358901&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윈도우7 홈프리미엄 원격설정

IT이야기/etc. 2014. 10. 23. 10:34 Posted by 카레이서

===============================================================

 

[서비스팩NO]Concurrent_RDP_Win7_RTM_patcher.zip

 

[서비스팩YES]W7-SP1-RTM-RDP-v2.zip

 

===============================================================

윈도우7 홈프리미엄 원격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지난번에 한번 올린적이 있는데 좀더 보완을 하여 다시 올려봅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주의! 윈도우7 홈 프리미엄에 대한 내용입니다. 윈도우 버전 꼭 확인해주세요.

(확인하지 않으시고 했을 때 어떤 결과가 나올지 저도 모릅니다)

 

얼마전 윈도우7 홈프리미엄 서비스팩 1이 나왔습니다.

서비스팩1을 설치하신 분이 있을거고, 그렇지 않은 분이 있으실겁니다.

두 가지의 경우에 사용되는 파일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에 대해 설명을 적겠습니다.

 

 

1. 공통으로 하셔야할 사항

 

 

 

위 사진처럼 시작 → 컴퓨터 우클릭으로 속성 으로 이동합니다.

그러면 아래의 창이 나타납니다.

 

(아래의 사진들은 현재 집에있는 컴에서 찍은 사진이라 윈도우7 울티메이트K 버전입니다. 하지만 아래 방법들은 동일하니 혼동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홈 프리미엄에서 나타나는 창의 표시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우선 위 사진처럼 원격탭에서 

'이 컴퓨터에대한 원격 지원 연결 허용' 에 체크를 합니다.


 

그리고 고급을 눌러 '원격 지원 설정' 창으로 이동합니다.

'이 컴퓨터가 원격으로 제어되도록 허용'에 체크를 합니다.

이제 확인버튼을 누르고 바로 전창에선 적용버튼을 누르도록 합니다.

 

이렇게 되면 기본적인 설정은 마친 상태입니다.

 

처음에 언급한 것처럼 여기부터 서비스팩1이 설치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두가지로 나뉘게 됩니다.

자신의 컴에 서비스팩1이 설치되어 있는지 안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위에서 설명했던 컴퓨터속성 창에서 확인하면 됩니다.

 

시작 → 컴퓨터 마우스 우클릭의 속성

여기에서 나타난 화면을 보시면 자신의 윈도우 버전과 설치된 서비스팩 상태를 볼 수 있습니다.

위에 사진들 중 첫번째와 두번째 사진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윈도우 버전 설명칸에 서비스팩1 이 표시되어 있다면 서비스팩1이 설치된 상태입니다.

반대로 없다면 설치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주의! 현재 제가 올린 사진은 홈 프리미엄이 아닌 울티메이트K 버전입니다.

홈프리미엄에서도 확인 방법은 동일하므로 혼동하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자신의 컴이 어떠한 상태인지 확인 하셨다면 아래 두가지 중 자신에 맞는 것을 따라하시면 되겠습니다.

 

 

2. 서비스팩1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

 

우선 첨부파일중 [서비스팩NO]Concurrent_RDP_Win7_RTM_patcher 이것을 받습니다.

압축을 푸신 후 해당 폴더로 이동합니다.

install 파일이 보일겁니다. 그것을 마우스 우클릭하여 관리자 권한 실행을 하도록 합니다.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야만 정상적으로 적용이되므로 꼭 관리자권한으로 실행하도록 합니다.

 


 

실행을 해보면 위와 같은 창이 뜹니다.

나오는 지시에 따라 진행하시면 됩니다.

 

첫 화면에선 아무키나 눌러 진행을 하며,

 

두번째 화면에선 멀티세션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창입니다.

자신의 상황에 맞게 멀티세션을 사용할 생각이라면 Y,  그렇지 않다면 N 을 입력합니다.

 

 

 

 

세번재 화면에선 로그인 암호설정 여부를 묻는 것입니다.

당연히 Y를 입력합니다.

로그인암호설정을 하지 않으면 컴퓨터 사용자 계정의 암호를 몰라도 원격접속이 됩니다.

즉, 보안상 좋지 못하므로 설정하는 편이 좋습니다.

 

이후에 화면이 바뀌고 화면에 진행상황이 표시됩니다.

 

완료될때까지 기다립니다.

완료는 아마도 계속하시려면 아무키나 입력하세요... 란 문구가 뜬다거나

자동으로 창이 꺼진다거나 할 겁니다.

(완료까지 PC 상태에따라 3~4분 이상 걸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완료가 되었다면 이제 다른 PC에서 원격접속을 테스트 해보시면 되겠습니다.

 

 

PS.

포스팅을 올리는 컴이 홈프리미엄 버전이 아니라서 완료상태를 찍을 수 없었습니다.

홈프리미엄 버전의 컴퓨터도 이미 서비스팩1이 설치된 상태라서 완료 화면을 찍지 못하였습니다. ㅠㅠ

완료가 피시 상태에따라 오래걸리는 경우도 있으므로 완료화면을 올려야는데 그렇지 못한 점 죄송합니다.

 

 

2. 서비스팩1을 설치한 경우

 

첨부 파일중  [서비스팩YES]W7-SP1-RTM-RDP-v2  이 파일을 받습니다.

압축을 풀도록 합니다.

 

압축을 풀면 W7-SP1-RTM-RDP 폴더가 있고, 그 안에 여러 파일들이 있을 겁니다.

 

서비스팩1 용으로 패치된 파일의 사용법은 약간 까다롭습니다.

멀티세션을 사용할지 안할지에 따라서 설치법이 틀리므로 잘 따라하시길 바랍니다.

 

우선 멀티세션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입니다.

이 방법은 간단합니다.

압축을 푼 폴더에서 install 파일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고, 완료시까지 기다리면 됩니다.

완료가 되면 아무키나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뜰겁니다.

 

 

이렇게하면 멀티세션을 사용안하는 상태로 원격접속이 가능하게 패치가 된겁니다.

이제 원격접속이 되는지 확인해보시면 되겠습니다.

 

 

 

두번째로 멀티세션을 사용할 때의 방법입니다.

 

지금 하려는 부분이 cmd 창을 사용해야 하는 것이라 익숙치 않은 분들에겐 많이 헷갈리는 부분입니다.

cmd 창에서 보다 쉽게하기위해 압축을 푼 폴더를 이동시킵니다.

 

C 드라이브의 최상위에 옮기도록 합니다.

폴더의 위치가 C\W7-SP1-RTM-RDP  로 옮기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나서 폴더 이름을 변경합니다.

저는 W7SP1 으로 변경하였습니다. (폴더명에 한글이 들어가면 안됩니다)

 

 

위의 작업을 진행하였다면 이제 cmd 창을 띄워야합니다.

여기서 쉽게 놓칠 수 있는 부분이 있는데 cmd 창을 띄울 때 꼭 관리자 권한으로 띄워야 합니다.

(관리자권한이 아닐경우 정상적으로 패치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시작을 누르면 보이는 실행창에 cmd를 입력합니다.

엔터를 눌러 실행을 하시면 안되고, cmd 만 입력하고 기다립니다.

그러면 위쪽으로 cmd 실행파일이 검색되어 표시됩니다.

실행파일을 우클릭하여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왼쪽에서 처럼 실행창에 cmd를 입력하면 오른쪽처럼 실행파일이 보일겁니다.

 

cmd 창에서 위에서 옮겨놓은 폴더로 이동을 합니다.

 

cd C:\W7SP1

을 입력하면 이동됩니다.

 

 

위 사진처럼 폴더가 이동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dir 명령어를 입력해보면 이동된 디렉토리내용이 표시됩니다.

 

이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 후 완료시까지 기다립니다.

 

install multi

(대소문자를 가릴지도 모르기 때문에 혹시라도 안될 시 Install multi 로 해보시길 바랍니다.)

 

완료가되면 아무키나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뜨거나 다시 프롬프트가 깜빡이는 상태로 돌아올겁니다.

이렇게되면 멀티세션을 사용하는 상태로 원격접속이 가능하도록 패치된 상태입니다.

원격접속 테스트를 해보시면 되겠습니다.

 

산돌고딕체

IT이야기/etc. 2014. 9. 29. 05:35 Posted by 카레이서

 

산돌고딕.zip

 

제가 제일 즐겨쓰는 폰트인 산돌고딕체입니다.
많은 디자이너분들이 깔끔하고 예뻐서 선호하시는 폰트에용!
혹시 필요하신분 계실까 올려봅니다.

 

인터넷창 열면 여러개 창이 떠요

IT이야기/etc. 2014. 6. 18. 02:23 Posted by 카레이서
인터넷창 여러개 뜨는 이유는
 쇼핑툴바,BHO애드웨어가 원인으로 아래 내용 따라하시면 해결됩니다


 

고클린 프로그램을 네이버 자료실에서 안전하게 다운로드하시거나,

아래 링크에서 직접 다운받아 설치합니다

 

gocleansetup1310.exe


메뉴중 [서비스 관리] 실행하신 후 
목록에 나타난것 모두 선택 후 [서비스 중지하기]를 눌러줍니다 


 

 



메뉴중 익스플로러 최적화 실행하신 후 
목록에 나타난것이 있으면 모두 제거합니다
  

다음으로 메뉴중[시작프로그램 관리] 메뉴 선택 후,
오렌지색 체크가 되어있지 않는 것은 중요도가 떨어지는 프로그램이니 선택해서 [삭제]해줍니다

 

 

 

 

다음으로 메뉴중 액티브(Active)X 삭제를 실행하신 후
모두 보기에 나타난 모든것을  삭제해 주시구요

 

 

 

추가적으로 아래 내용도 따라해 보시구요

■ 인터넷창 상단메뉴 도구 -> 인터넷옵션 -> 고급 선택 후

목록 중에
"타사브라우저 확장명 사용(다시 시작해야 함")에 체크 해제해 주시구요


■ 인터넷 창 상단 메뉴 도구->추가기능관리

목록중에
Shockwave Flash Object를 뺀 나머지를
"사용 안함"으로 처리해 주세요

 

"사용 안함" 처리는 리스트에서 항목 선택 후
하단에 "사용 안함"에 체크하시면 됩니다